ETF 절세 전략: 연금계좌와 ISA 활용법
ETF는 저비용, 분산투자의 장점이 있지만 세금은 피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. 그러나 연금계좌(IRP, 연금저축)와 ISA 계좌를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ETF 절세 전략을 정리했습니다.
1. ETF 세금 구조 이해하기
일반 계좌에서 ETF를 매매하면 아래와 같은 세금이 부과됩니다.
- 국내 주식형 ETF: 매매차익 비과세, 배당소득세 15.4% 과세
- 해외 주식형 ETF: 매매차익·배당소득 모두 15.4% 과세
- 채권·원자재 ETF: 배당소득세 15.4% 과세

2. 연금계좌 활용법 (IRP·연금저축)
연금계좌는 세액공제와 과세이연 혜택을 동시에 제공합니다.
- 연간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(IRP+연금저축 합산)
- ETF 운용 시 매매차익·배당소득에 대한 과세 이연
- 연금 수령 시 저율 분리과세(3~5%) 적용
3. ISA 계좌 활용법
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는 일정 금액까지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.
- 총 2,000만원 납입 가능 (일반형 기준)
- ETF 매매차익·이자·배당에 대해 200만원(서민형·농어민형은 400만원)까지 비과세
- 초과 수익은 9.9% 분리과세
4. ETF 절세 전략 설계
(1) 연금계좌는 장기투자용
광범위 지수 ETF, 채권 ETF 등 장기 보유 자산을 편입해 복리 효과 극대화.
(2) ISA 계좌는 중기투자·테마형 ETF
AI, 2차전지, 원자재 등 테마형 ETF를 ISA에서 운용하면 수익을 비과세 한도 내에서 절세.
(3) 일반 계좌는 단기 매매·세금 고려
세금 영향이 적은 국내 주식형 ETF 위주로 활용.
5. 투자자 유형별 추천 전략
투자자 유형 | 추천 계좌 | ETF 운용 전략 |
---|---|---|
20~30대 직장인 | 연금저축 + ISA | 장기 지수 ETF는 연금계좌, 단기 테마는 ISA |
40~50대 은퇴 준비 | IRP | 인컴형·채권형 ETF 비중 확대 |
단기 수익 추구 | ISA + 일반계좌 | ISA에서 테마형, 일반계좌는 국내 주식형 ETF |